페이지

2016년 4월 20일

『아버지의 통곡』(니콜라스 월터스토프 지음, 양무리서원)을 읽고.

1. 월터스토프는 미국 캘빈대학교에서 신학을 가르치는 신학자이다. 1983년 여름, 그는 한 통의 전화를 받는다. "월터스토프 씨인가요?" - "네" - "에릭의 아버지 되십니까?" - "네". 이 책은 한 아버지가 자신의 아들이 등산 중에 사고로 죽었다는 전화를 받는 순간부터, 일 년 뒤 아들의 묘지를 찾을 때까지 그의 삶에, 그의 마음 속에, 그의 가족에게 일어난 일들을 기록한 것이다.

2. <구약>에는 내가 읽을 때마다 기분이 좋지 않은 구절들이 있었다. 하나님을 직접 정면으로 보면 죽는다고 하고, 법궤를 만지면 죽는다고 하고 할 때면 , 이거 너무 심한 거 아니야, 하는 마음이 들었다. 아무리 거룩이 중요해도 사람의 생명보다 더 중요할 수 있을까. "내가 죽고 싶지 않기에 정면으로 당신을 보지 않고, 죽지 않고 싶어 법궤를 만지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썩 유쾌하지는 않습니다". 이런 마음이었다. "힘 없는 게 죄지,뭐" 이런 느낌이었다. 그런데 『아버지의 통곡』을 읽다가 처음으로, 인간이 하나님을 정면으로 보면 죽는다는 게 <약자의 설움>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다음 대목을 읽을 때: "하나님의 얼굴을 보고 살 수 있는 자는 아무도 없다고 한다. 나는 늘 이 말이 아무도 그분의 빛나는 영광을 보고는 살 수 없다는 뜻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런데 한 친구는 내게 어쩌면 이 말이 아무도 그 분의 슬픔을 보고는 살 수가 없다는 뜻일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p.92).

3. 내가 하나님을 크게 오해했다는 걸 알게 됐다. 나는 가끔 하나님이 너무 <폼을 잡는다>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아니었다. 이 세상 <모든 사람>의 슬픔을 자기 마음에 <하나도 빠트리지 않고 다 담고> 계신 하나님의 <다정한 음성>이었다, 그 명령은. 아들아, 나를 정면으로 보지마. 나를 만지지 마. 내 슬픔은 네가 감당하기엔 너무 크단다, 였다. 이 경고 들을 때 나 더 이상 기분 상하지 않는다. 괜히 죄송할 뿐.

2016.4.20.

p.s.
(1) 원서의 제목은 『Lament for a Son』이다. 나는 1992년에 '양무리서원'에서 번역한 책으로 읽었다. (2014년에 출판사 '좋은씨앗'에서 『나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다시 나오기도 했다.) 내가 읽은 양무리서원판에는 손봉호 교수의 추천사가 붙어 있다. 그 추천사에 다음과 같은 대목이 나온다. " 몇 년 전에 나는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개최되었던 기독교 학자들의 모임에서 그를 만났고, 그의 예리한 판단력과 그리스도인다운 겸손과 부드러움, 그리고 철저히 일관성 있는 행동에 많은 감명을 받았다. 수많은 아프리카인들이 굶주리는데, 그리스도인이 관광같은 것을 즐길 수 없다해서, 그는 그 나라의 유명한 빅토리아 폭포 관광을 포기하는 것을 보았다. 나는 그 유혹을 이기지 못하여, 그와 같이 행동하지 못한 것을 지금도 부끄럽게 생각한다. "

(2) "월터스토프 부부는 아들 에릭을 기리기 위해 작곡가 캐리 랫클리프에게 자기들이 주로 성경에서 따와 만든 가사에 맞추어 진혼곡을 작곡해 달라고 의뢰했다. <레퀴엠 : 에릭 월터스토프를 기리며>는 1986년 5월 18일 미국 미시간 주의 그랜드래피즈에서 처음 연주 되었다. " (『아버지의 통곡』, '부록' 중에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