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6년 7월 28일

『천년 동안 백만 마일』(도널드 밀러, IVP)을 읽고.

1.미국에서 고등학교 다니던 두 아들에게 전화해서 이렇게 말하곤 했어요. 얘들아, 이 세상에서 섹스를 완전하게 사라지게 하는 방법이 뭔 줄 아니? 관계를 갖고 난 후 의무적으로 느낀 점 써내라고 하는 거야, A4 용지 하나 가득. 일 년이면 이 세상에서 섹스 없어진다. 어, 아빠 말 안 믿냐?  독후감은 사라져야 해, 독후감 때문에 사람들이 책을 안 읽게 되는 거라고. 듣고 있니?  
2.  인생에 제발 한 번만이라도 남을 위해 살아봐야겠다는 절박함에서 청소년 멘토링 NGO <러빙핸즈>에 가입하고 첫 교육을 받던 날이었어요. 교육 시작과 함께 진행자가 교육 과정 수료를 위해선 다음 주까지 제출해야할 숙제가 있다는 거예요. 숙제? (음, 온라인으로 지원서 받을 땐 숙제 얘긴 없었는데 ㅠㅠ 궁시렁 궁시렁). 진행자의 말이 이어졌어요. 저 뒤에 있는 4권의 책 중 하나를 골라 독후감을 써주세요. (뭐라고? 독후감이라고?? 지금 그만두겠다고 하면 사람들이 비웃겠지? ㅠㅠ ) 9시에 시작한 교육은 저녁 6시30분에 끝났고 저는 느릿느릿 독후감용 책이 전시돼 있는 사무실 뒷편으로 걸어갔어요. 이 중에서 고르면 되는 건가요? 네, 넷 중에서 마음대로 고르시면 됩니다. (마음대로가 아니라 의무적이겠지). 저는 기계적으로 제일 왼쪽에 있는 책부터 집었어요. 저자의 이름을 확인하는 순간 저는 나머지 셋은 보지도 않고 그 책을 샀어요. 어느새 제 불평은 멎었어요. 홍대역에서 전철에 오르자마자 책을 폈어요. 밀러는 제가 (하이네켄이나 칭따오만큼이나) 좋아하는 작가였어요. 뭐랄까, 횡재를 한 느낌이었어요.
3. 밀러가 쓴 첫번 째 책 『재즈처럼 하나님은』(복있는사람)은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순위에 45주 이상 올랐을 정도로 성공적이었어요. 저도 읽었었는데 인간의 자기 중심성을 고백하는 이런 구절들이 아직도 기억나요. "내 시간의 95%는 나에 대해 생각하는데 들어간다". 밀러는 C.S.루이스의 시(詩)도 한 편 인용하며 이런 말을 해요. "처음 읽었을 때 그 심정에 어찌나 공감이 가던지, 꼭 누가 내 이름을 부르는 것 같았다". 밀러가 인용한 루이스의 시 한번 들어보시겠어요? (『재즈처럼 하나님은』, p.32에 나와요.)
이 모두는 당신을 사랑함에 관한 번지르르한 궤변입니다.
태어나던 날부터 나는 이타적인 생각을 해본 적이 없습니다.
나는 철두철미 속속들이 타산적이고 이기적입니다.
나는 하나님,당신,모든 친구가 나를 챙겨 주기만을 바랍니다.
내가 추구하는 목표는 평온함,안심,즐거움입니다.
나는 내 살갗 밖으로 한 치도 기어 나올 수 없습니다.
사랑을 말하지만 학자의 앵무새는 헬라어를 말하겠지요.
내 감옥에 갇힌 나는 언제나 원점으로 다시 돌아옵니다.
부끄럽지만 이 시, 제게는 <시>가 아니라 저에 대한 <다큐>로 다가왔어요. 제가 추구하는 목표, 정확하게 "평온함, 안심, 즐거움", 이 셋(!)뿐이었어요.(여전히, 이예요.) 신의 은혜가 아니면, 신의 개입이 없으면, "내 살갗 밖으로 한 치도 기어 나올 수 없는" 내 인생. 밀러는 참 가벼운 필치로, 저를 깊이 찔렀어요. 밀러는 첫 책의 성공 이후 계속 해서 책을 냈어요. 하나 계속 실패했어요. "내가 몇 년 전에 쓴 그 책이 많이 팔렸고 그 때문에 나는 한동안 자만심에 젖어 내가 대단한 작가나 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그 뒤로 쓴 책들이 잘 팔리지 않았고, 그래서 나는 다시 정서가 불안해졌고 일상으로 돌아갔다". (『천년 동안 백만 마일』,p.25). 여친과도 헤어졌지요. 영성에 대해 멋진 글을 썼던 밀러는 이제 아침이 와도 침대에서 일어나기 싫어하는, TV리모컨만 찾는 그런 사람으로 변했어요. (제가 베스트셀러 작가의 심정은 잘 모르지만, 무기력한 사내 심정은 잘 알아요). 그리고 무기력하게 살아가던 밀러에게 어느날 영화제작자 스티브와 벤이 찾아와요. 밀러 자신을 주인공으로 하는 영화를 한 편 제작하고 싶다면서요.
4.『천년 동안 백만 마일』은 영화를 한 편 찍으려다보니까 다시 바빠졌고, 바쁘다보니 어쩔 수 없이 무기력한 생활에서 벗어나게 됐다, 라는 얘길하는 책이 아니어요. 다시 바빠짐. 다시 주목 받음. 다시 화려해짐은 사실 변화가 아니잖아요. 단순한 커버링이지요. 그저 잠시 미뤄두기이지요. <낸시랭의 신학펀치>라는 엄청난(?) 성공을 경험한 뒤에도 (중복이라 시전한 <썰렁> 조크 -.- ) 저라는 사람은 여전히 저 한 사람 안에 갇혀 있고, 지금 비록 틈틈이 펀치 시즌2를 준비하고 있지만, 혹 시즌2가 성공하더라도, 그 성공이 저를 <진짜>로 만들어주지 못할 거란 것, 너무 잘 알아요. (그런데 저는 진짜로 진짜가 되고 싶어요. ) 그래서 저는 밀러와 함께, 정말 밀러와 <함께> , 제 삶이라는 스토리에 <빠져있는 게> 뭘까, 절박하게 물었어요. 예, 밀러의 책을 읽은 게 아니라 밀러가 되었어요. 왜 나는 진짜를 살고 있지 못할까. 제가 묻자, 스티브와 벤이 제게 말했어요. "우린 지금 이야기의 갈등을 구상하는 중이에요 (...) 진짜 갈등다운 갈등이어야 해요. 좋은 이야기가 되려면 도널드는 자기가 부딪치기 싫은 일에 부딪쳐야 합니다".(p.80). 여기에 대한 저와 도널드의 생각? " 나는 (...) 쉬운 이야기를 바랐다. 하지만 쉬운 이야기는 누구의 기억에도 남지 않는다". (p.48). 밀러의 다음 고백은 제 고백이나 마찬가지예요. " 어떤 이야기가 나를 부르고 있음을 나는 알았다. 아버지가 살아 있는지 알아봐야 한다는 것도 알았다. 더 나은 이야기를 사는데 필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고 나면, 선택의 여지가 없어진다. 더 나은 이야기를 살지 않는 것은 죽기로 작정하는 것과 같다. (...) 죽기를 바라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다." (p.82).
5. 평온함, 안심, 즐거움, 이 셋만을 추구하며 살아온 불쌍한 사내가 한국에 한 명 있습니다. 그에게 자비를 베푸셔서, 그가 기꺼이 갈등에 부딪치고 <더 나은 이야기>를 선택하게 하소서. 그 새 이야기에선, 불쌍한 주인공이 1센티라도 자신을 뚫고 나올 수 있게 하소서. 1센티라도 이전보다 다른 사람에게 더 다가가게 하소서.

2016. 7.28.
신동주

2016년 7월 19일

『터프 토픽스 Tough Topics : 기독교의 난제 25가지』(샘 스톰스 지음, 새물결플러스)를 읽다가.

지하철에서, 내 앞 여성의  <짧은 청 반바지>에서 급히 눈을 뗀 나는 손에 쥐고 있던『터프 토픽스 Tough Topics : 기독교의 난제 25가지』로 다시 눈을 돌렸다.샘 스톤스 저, 장혜영 역, 새물결플러스 간. 목차를 훑다가 제17장 <천국에도 섹스가 있을까?> 에 잠시 눈길을 두었지만 나는 평소 읽던 습관대로 제1장 첫 페이지를 폈다. 1장의 제목은 <성경은 무오한 책인가?>. 그리고 난 충격에 빠졌으니! 저자는 그리스도인에게 세 가지 권위의 근거가 있으니 어떤 이는 <교회의 가르침>을, 어떤 이는 <자기 자신의 생각>을, 어떤 이는 <성경>을, 무언가의 진실 여부를 판단하는 최종 권위 출처로 삼는다고 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당신이 세 번째 출처를 인정하는 사람이기를 바란다. 이 견해에 따르면 신앙과 삶의 모든 문제에 있어 최종적인 권위는 성경이다”. 충격충격! “교회”(혹은 공동체 혹은 사회 혹은 전통)와 “개인”과 “성경”을 이렇게 독립적인, 서로 배타적인 관계로 보는 이런 주장이, 2016년 요즘도 나올 수 있다니! ‘인식론’을 조금만 공부해도 위 주장은 실현 불가능한 주장이라는 걸 금세 알 수 있는데! 모든 성경은 ‘해석’해야만 하기에 자동적으로 <해석하는 개인>이 인식 과정에 들어가고, 개인은 무엇을 해석함에 있어서 <자기가 속한 공동체의 전통과 해석>에 무/의식적으로 의지하기에 <교회>(혹은 공동체 혹은 전통 혹은 사회)가 성경해석이란 과정에 필수적으로 침투하게 되는데. 이런 ‘인식의 실재’를 무시하고 <용감무식하게> 나는 당신이 <전통>이나 <개인>이 아니라 <성경>을 삶의 모든 문제의 최종적인 권위로 삼기를 바란다, 같은 주장을 2016년에도 여전히 할 수 있다니! (믿을 수 없다). 이어서 저자는 그 다음 페이지에서 “예수님을 주님과 구세주로 믿고 받아들이는 것은 곧 그분이 성경에 대해 가르치신 바를 믿고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하면서 “예수님은 구약 이야기를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으로 대하셨다”라고 하는데 그건 어디까지나 샘(Sam) 네 생각일 뿐이지. 구약에 등장하는 몇몇 인물들의 역사성을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예수님을 구세주와 주로 고백하는 것이 내게는 가능하니. 그 좋은 예가 요나 이야기의 역사성. (여기에 대해 내가 이전에 쓴 글 첨부하면: 요나의 물고기를 좇다가 만난 질문들. http://holyfat.blogspot.kr/2014/05/blog-post_7.html ). 
이렇게 책을 사서 제1장 처음 몇 쪽 읽다가 ‘급피로’를 느낀 나는 잠시 17장을 열어 몇 줄 살펴보다가 그냥 책을 덮었으니. 지하철은 동작역을, 계절은 여름을 지나고 있었으니. 난제는 샘 바로 너이니.

2016년 7월 8일

『신학자가 풀어 쓴 유교이야기 』(배요한 지음, IVP)의 서론을 읽고.

배요한 교수가 쓴 『신학자가 풀어 쓴 유교이야기 』(IVP)의 서론을 읽고 있는데 넘 좋아요. 신학교를 졸업하고 유교를 <제대로>공부하고 싶어 성균관대학교에 또 들어간 일 등 자신의 삶을 간략하게 소개하는데 진실성과 성실성이 느껴졌어요.(신학교와 성균관대 양쪽에서 적지 않은 오해 비난을 받았다고 하세요 ㅠㅠ) . 다음 구절을 읽는데 가슴이 찡. "그후 박사과정을 위해 유학길에 오른 저는 2002년 4월11일 동양사상과 기독교 신학의 비교 연구로 명성이 자자했던 보스턴 대학교의 총장이자 제 지도교수가 될 로버트 네빌(Robert C. Neville)을 만났습니다. 네빌은 이 분야에 있어 미국에서 최고의 권위자로 꼽히는 분으로, 청교도 신앙 위에 세워진 도시 보스턴의 대표적인 대학교 학장답게 비교종교라는 학문적 방법을 통해 기독교 신앙을 재발견하고 새롭게 해석하는 뛰어난 신학자입니다. 처음 인사를 나누는 자리에서 그가 제게 했던 질문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짧게 인사를 나눈 그는 다그치듯 제게 이렇게 물었습니다. "요한, 자네는 한문을 독해하고 한문으로 된 고전을 읽을 수 있나?" "심성론에서 퇴계와 율곡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나?" 저는 단호한 목소리로 "예"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리고 원한다면 지금 이 자리에서 보여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자 네빌은, 자신은 지금까지 이 두 질문에 "예"라고 답할 수 있는 학생을 오랫동안 기다려 왔다며 저를 따뜻하게 환영해주었습니다." (p.14) 이상하게 옛날부터 스승과 제자가 만나는 이야기는 로맨스 소설보다 더 제 마음을 뛰게 만듭니다. " 마지막으로 다른 종교를 공부하기 전에 한 가지 더 명심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그것은 본질과 본질을 비교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 모든 종교는 하나의 종교 전통으로 사회 속에서 그 종교의 본질적 측면과 비본질적 측면 혹은 왜곡된 측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 (p.22)

(서플먼트)!
내 몸의 두 배는 돼 보이는 거구의 헤비 (N.T. Heavy) 교수가 내게 물었다. "동주, 자네는 헬라어를 독해하고 헬라어로 된 1세기 자료들을 읽을 수 있는가?" "자네는 구원론에 있어서 바울과 당시 1세기 유대교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나?" 나는 단호한 목소리로 "very negative"라고 대....(여기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