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4년 7월 26일

『사무엘상』(김구원 지음, 홍성사)을 읽고.

1. 홍성사에서 창립 40주년을 맞아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독 주석 시리즈를 냈는데 그 첫 권이- 아직 첫 권밖에 나오지 않았다 - 김구원 교수의 『사무엘상』이다. 책을 손에 쥔지 사나흘만에 다 읽었다. 시리즈의 첫 저자 김구원 교수가 발간사 격으로 쓴 글 중에서 다음 문장이 기억에 남는다.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성경을 읽을 때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질문들을 다루었다”. 제일 먼저  떡볶이가 떠올랐다. 청년부 모임 후 조원들과 떡볶이 먹으며 사리 하나 추가하며 나누었던 고민과 대화들이 떠올랐다. 미국에서 멕시칸 푸드 타코 먹으며 <쉐어링> 해본 적도 있지만 역시 <내 기독교>에는 떡볶이와 순대 냄새가 짙게 배어있다. 코리안 크리스천의 질문이라! 재미있는 콘셉트였다. 그런데, 내 질문은 무엇이었더라?  

2. 성서 사무엘상과 이 책『사무엘상』이 다루는 수많은 이야기는 다 생략하려 한다. (갑자기 저자에게 미안한 마음이 든다.) 나이 마흔여덟에 사무엘상을 다시 읽었을 때 내게 생긴 - 약간 뜬금없는 - 단 하나의 질문은 아래와 같다.

3. 사울은 하나님의 지시를 기다리지 못하거나 않는다. 반면 다윗은, 매번 하나님의 지시를 기다렸고, 승리한다. 기다리(기만하)면, 가부(可否)간에 지시를 받고, 승리를 한다. 이런 다윗의 승리에서 다윗이나 독자는 <무슨 유익>을 얻을 수 있을까. (그러니까, 다윗은 언제, 자기의 결정에 따른 결과를 맛보며 - 그게 쓴맛이든 단맛이든 - 성숙할까?) 이런 다윗의 행동에서 <대단한 건> 도대체 뭘까. 하나님이 가라고 하면 가고, 멈추라 하면 멈춘다. 에봇을 통해 예스-노로 지시를 받는다. 이건 마치 -불쑥 끼어드는 19금적 표현을 용서 바란다 - 언제 삽입하고 언제 어디를 애무하라고 일일이 하나님에게 -에봇을 통해- 물어보고 갖는 성관계만큼 코믹하고 비성인(非成人)적이다. 아, 내 삶에서 단 한 번도 에봇적인 인도 없었고, 제사장 없었고, 오직 - 당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 <침묵>뿐. 네 삶을 내게 맡기되 네가 내려야 할 결정까지 내게 맡기지는 마, 라는 계시를 깨닫기까지 얼마나 오래 걸렸는지. 고대근동에선 한 인간이 성숙한다, 는 개념과 구조가 달랐을까. 다윗이 <블레셋일기>를 남겼다면 그 안에 제사장을 기다렸다, 에봇을 가져오라 시켰다, 하나님께 물었다, 말고 또 어떤 말이 들어갈까. 21세기에 제사장과 에봇은 무엇일까. 아, 그런데,  이 내 질문은 한국적인 것일까.

서플먼트
1) 글을 쓰고 나서 생각해보니 내가 공감하지 못한 상기 <하나님의 뜻 묻기>는 전쟁에 국한된 거란 생각이 들었다. 광야와 외국에서 도피 생활을 할 때 다윗은 참으로 많은 결정을 <하나님을 의지하며 스스로> 내렸다. 그래서 내 질문 수정하여 다시 해보면: 이런 다윗의 행동에서 <대단한 건> 도대체 뭘까. (이런, 내가 보르헤스의 ‘피에르 메나르, 『돈키호테』의 저자’도 아니고 수정 전후 문장이 똑같은 건 뭥미?  

2) <낸시랭의 신학펀치>를 제작하며 김구원 교수를 패널로 섭외한 일이 있다. 그때 요나서에 대해 이야기하는 과정 중에 나온 <다큐멘터리>와 <픽션>이란 두 단어가 페이스북 상에서 꽤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책 『사무엘상』355쪽에서 <다큐멘터리>라는 단어를 발견하고 혼자 미소 지었는데 인용하면 이렇다. “다소 이상한 이 두 상황은 본문이 다큐멘터리라기보다는 (역사에 대한) 사무엘서 저자의 문학적 구성임을 암시한다. 저자는 다윗의 등극을 향한 하나님의 섭리적 사건을 보여 주기 위해 사울과 익명의 소년 간의 대화를 본문에서 문학적으로 구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보드너,173쪽)”.

3) 이 책의 미덕 한 가지. 고대근동어에 대한 탁월한 감각과 지식을 갖고 있는 저자의 해설을 흠뻑 맛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울의 번뇌를 표현하는 “히브리어 ‘비아트’는 욥기에 집중적으로 사용된 단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골리앗 앞에서 사울을 격려하며 다윗이 사용한 말은 <“사람이 낙담하지 말 것이라”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알-이폴 레브-아담’인데 (...)성경에서 마음이 ‘떨어지다’는 표현은 여기에만 나온다” (...) 이것은 앞으로의 이야기 전개에 대한 저자의 복선이다>. (복선의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