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25년 3월 30일

다시 교회를 갔다


 











오늘은 내가 근 5년만에 다시 교회를 간 날이다. 얼마 전부터 다시 교회를 가보자 하는 마음이 들었고, 이번에는 그 마음이 그냥 사라지도록 냅두고 싶지 않았다. 그 마음을 붙잡았다. --- 서울역 10번 출구로 나와서 교회로 올라가는데 이전에 친구와, 아들과, 혼자, 땀 흘리며, 비 맞으며 올라가던 때 기억이 났다. 교회 주차장에서 본당으로 올라가자면 나무로 만든 계단을 통과해야 한다. 하늘에 계신 주대범 장로님이 고치신 계단이다. 칠팔 년 전, 내가 이 교회에 처음 왔을 때,  점심 식사할 때마다 내가 앉은 자리로 와서 큰 목소리로 안부를 물어주시던 장로님이 떠올랐다. 장로님, 저를 환대해 주시고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계단을 오르며 짧게 기도를 드렸다. 코너를 돌자 주보를 들고 계신 교우들이 보였다. ---- 예배의 예전 하나하나가 마음에 다가왔다. 몸, 목소리, 찬양, 기도를 통해서 내 신앙을 표현하고 또 확인할 수 있다는 게 감동적으로 다가왔다. 집에서 혼자 성경 읽을 때와는 많이 달랐다. ---- 오늘 교회 주보 전면에는 돌아온 탕자 그림이 인쇄돼 있었다. 찬송은 "여러 해 동안 주떠나"였고, 성가대 찬양은 "나에게 돌아오라"였고, 설교 본문은 누가복음 15장 돌아온 탕자였다. 나를 향한 하나님의 유머라는 생각이 들었다. --- "3월 달에는 주일이 다섯 번 있습니다". 설교를 하기 전에 담임 목사가 마이크를 잡았다. "저희 교회는 이렇게 주일이 다섯 번 있는 달에는 마지막에 주일에 어린이들에게 먼저 말씀을 전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예닐곱 명의 아이들이 앞으로 나와 러그가 깔린 강대상 계단에 자연스럽게 앉았다. 담임 목사는 아이들 앞에 의자를 놓고 앉아서 (교인들에게는 등을 보이고) 돌아온 그림책을 들고 아이들에게 3분 정도 돌아온 탕자와 아버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담임 목사가 교회의 주일학교 아이들에게 말씀을 전하는 모습을 전교인과 함께 바라보는 경험은 감동적이었다. 목사가 그림책 속의 한 인물을 짚으며 물었다. "이 사람은 누구일까?". 개중에 제일 큰 남자 아이가 말했다. "백 퍼센트 아버지요!". 목사는 웃으며 백 퍼센트 맞다고 대답했다. ---- 매주 진행하는 성찬식에 참여했다. 너무 오래간만에 참여하다 보니 순서를 까먹었다. 앞으로 나가 목사가 주는 떡을 두 손으로 받은 후 기도하며 먹었다. 그리고 내 자리를 향해 걸어 들어왔다. 포도주도 있다는 걸 깜박한 것이다. '떡과 포도주' 중에서 포도주를 잊다니. 다시 돌아들어가 포도주를 받아 마셨다. ---- 예배를 마치고 식당으로 내려가 점심을 먹었다. 식판을 들고 빈 자리로 가서 앉았다. 내 옆에서 밥을 먹고 있는 아이를 보니 아까 예배 시간에 그 아이 같았다. 나는 작은 용기를 내서 "네가 아까 예배 시간에 앞에 나가서 목사님 말씀 들었던 거 맞지?"라고 물었다. "예" "백 퍼센트 아버지요 라고 했던 말 기억난다. 몇 학년이니?" "5학년이요". 다른 교인과 이야기를 하며 밥을 먹는데, 밥을 다 먹은 옆 자리 소년이 내게 "먼저 일어나겠습니다" 라고 인사를 했다. 와, 이렇게 예의 바른 소년이라니! 감동을 받는 나는 "이름이 어떻게 되니?". 아이가 이름을 말해줬고 나도 내 이름을 알려주었다. --- 점심을 다 먹고 지인 A와 함께 차를 마시러 갔다. 먼저 온 교우들이 있어서 합석을 했다. 대부분 40대였다. 내가 처음 보는 교우들도 여럿 있었다. 폭싹 속았수다 얘기도 하고, 잘잘법 얘기도 하고, 탄핵 재판 얘기도 했다. 우리가 오해하고 있는 성경 구절에 대한 이야기도 나눴다. 정말 너무 오래간만에 경험하는 성도의 교제였다. A와 나는 중간에 먼저 일어났다. 집으로 오는 길에 과거에, 오늘, 나를 환대해 주신 분들 얼굴을 떠올렸다. 이번에 다시 교회를 나가면서 큰 목표를 세우지는 않았다. 그냥 정기적으로 나가는 것만을 목표로 삼았다. 이런 정기적인 예배 참여가 내 삶에 질서를 잡아주었으면 한다. 질서, 내년에 60이 되는 내가 지금 가장 갈망하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